그뢰브너 기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뢰브너 기저는 다항식 환의 아이디얼에 대한 특별한 기저로, 다항식 시스템 풀이, 소거 이론, 오류 정정 부호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부흐베르거 알고리즘과 F4, F5 알고리즘을 통해 계산되며, 단항식 순서에 따라 유일성이 결정된다. 그뢰브너 기저는 아이디얼 멤버십 문제 해결, 다항식 방정식계 풀이, 소거 이론, 아이디얼 교집합 계산 등에 활용되며, 계산 복잡도는 변수의 개수에 따라 이중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호 계산 - 기호계산
기호계산은 기호를 조작하여 수학적 식을 계산하는 컴퓨터 과학의 한 분야이며, 수치 계산과 대비된다. - 기호 계산 - 조립제법
조립제법은 다항식 나눗셈을 간편하게 하는 방법으로, 특히 1차식으로 나눌 때 피제수의 계수와 제수의 상수항을 이용하여 몫과 나머지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으며, 2차식 이상에도 응용 가능한 방법이다. - 가환대수학 - 매개계
매개계는 뇌터 국소 가환환과 유한 생성 가군을 사용하여 정의되며, 가군의 길이와 크룰 차원을 활용하여 정칙 국소환에서 정칙 매개계의 성질을 규명하고, 추상대수기하학에서 기하학적 대상의 분류와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가환대수학 - 크룰 차원
크룰 차원은 환 내의 소수 아이디얼 체인의 길이를 이용하여 정의되며, 환론 및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개념으로 확장되어 사용된다.
그뢰브너 기저 | |
---|---|
정의 | |
설명 | 가환환 R의 아이디얼 I에 대하여, I의 그뢰브너 기저는 특정 순서에 따라 I의 모든 원소를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I의 생성원 집합이다. |
역사 | |
창시자 | 볼프강 부흐베르거 |
발표 연도 | 1965년 (박사 학위 논문) |
명칭 유래 | 부흐베르거의 지도 교수인 브루노 그뢰브너의 이름에서 유래 |
최초 명칭 | 부흐베르거는 원래 '기저' 대신 '기저 집합'(독일어: Basis)이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나, 나중에 '기저'로 변경 |
중요성 부각 시기 | 1970년대 중반, 다니엘 라자드가 컴퓨터 대수학에 적용하면서 중요성이 부각 |
관련된 알고리즘 | 부흐베르거 알고리즘 |
응용 | |
활용 분야 | 대수 기하학 가환 대수학 자동 정리 증명 로봇 공학 최적화 암호학 |
성질 | |
계산 복잡도 | 계산 복잡도가 높을 수 있으며, 입력에 따라 계산 시간이 크게 달라질 수 있음 |
기저의 유일성 | 주어진 아이디얼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는 유일하지 않지만,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그뢰브너 기저는 유일하게 결정됨 (reduced Gröbner basis)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단항식 순서 S-다항식 정규 형식 syzygy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Lazard, Daniel (1983). "Gröbner bases, Gaussian elimination and resolution of systems of algebraic equations". Computer Algebra.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162. pp. 146–156. doi:10.1007/3-540-12868-9_99. ISBN 978-3-540-12868-7. Renschuch, Bodo; Roloff, Hartmut; Rasputin, Georgij G.; Abramson, Michael (June 2003). "Contributions to constructive polynomial ideal theory XXIII: forgotten works of Leningrad mathematician N. M. Gjunter on polynomial ideal theory". SIGSAM Bull. 37 (2): 35–48. doi:10.1145/944567.944569. S2CID 1819694. |
2. 정의
개의 변수 에 대한 '''단항식'''(單項式, monomial영어)은
:
과 같은 꼴의 다항식이다. 개 변수에 대한 '''단항식 순서'''(單項式順序, monomial order영어)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단항식 집합 위의 전순서 이다. 모든 단항식 에 대하여,
체 에 대한 다항식환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다항식 은 단항식의 합으로 분해할 수 있다. 단항식 순서 에 대한 다항식 의 '''최고차항'''(F/leading term}}) 은 를 구성하는 단항식들 가운데, 단항식 순서 에 대하여 가장 큰 단항식이다.
아이디얼 와 단항식 순서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항식 집합 의 최고차항들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가 의 최고차항으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와 일치한다면, 를 의 '''그뢰브너 기저'''라고 한다.
:
을 다항식환으로 하고, 여기서 {{mvar영어는 체이다. 이 절에서는 허용 가능한 단항식 순서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를 에 있는 유한한 다항식 집합으로, 이 집합이 생성하는 아이디얼을 라고 하자. 집합 는 (단항식 순서에 관하여) 그뢰브너 기저, 또는 더 정확하게는 의 그뢰브너 기저인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면 그렇다.
# 에 있는 다항식들의 선두 단항식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이 에 있는 다항식들의 선두 단항식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과 같다.
또는, 동치적으로,
# 에 있는 모든 다항식의 선두 단항식은 에 있는 어떤 다항식의 선두 단항식의 배수이다.
그뢰브너 기저의 동치 정의로 사용될 수 있는 많은 특성들이 있다. "하나의 단어/다른 단어" 표기는 그뢰브너 기저의 두 가지 다른 특성을 갖기 위해 "하나의 단어" 또는 "다른 단어"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은 그뢰브너 기저의 특성들이다.
# 다항식 가 에 속하는 것은 에 의한 의 완전 선도-축소/축소가 영 다항식을 생성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 의 원소들의 모든 -다항식 에 대해, 에 의한 의 완전 선도-축소/축소는 영을 생성한다.
# 의 원소에 대한 모든 완전 축소는 동일한 결과를 생성한다.
# 에 의해 기약 가능한 단항식들은 -벡터 공간 의 기저를 형성한다.
2. 1. 단항식 순서
그뢰브너 기저와 관련된 모든 연산은 단항식에 대한 전순서 선택을 필요로 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모든 단항식 , , 에 대해,#
# .
이 조건을 만족하는 전순서는 "허용 가능한 순서"라고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조건은 순서가 정렬 순서임을 의미한다. 즉, 단항식의 엄격하게 감소하는 모든 수열은 유한하다.
그뢰브너 기저 이론은 허용 가능한 단항식 순서의 특정 선택에 의존하지 않지만, 응용 분야에서 특히 중요한 세 가지 단항식 순서가 있다.
- ''사전식 순서'' (''lex'' 또는 ''plex'')
- ''전체 차수 역 사전식 순서'' (''degrevlex'')
- ''소거 순서'', ''lexdeg''
그뢰브너 기저 이론은 처음에 사전식 순서에 대해 소개되었다. 곧 degrevlex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가 거의 항상 계산하기 훨씬 쉽고, degrevlex 기저를 먼저 계산한 다음 "순서 변경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lex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것이 거의 항상 더 쉽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소거가 필요한 경우 degrevlex는 편리하지 않다. lex와 lexdeg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lexdeg를 사용하면 많은 계산이 비교적 쉽고 lex를 사용하면 거의 불가능하다.
2. 2. 다항식 환과 아이디얼
그뢰브너 기저는 주로 체 ''K'' 위의 다항식 환 에서 정의되는 아이디얼에 대해 정의된다. 이 이론은 모든 체에 대해 작동하지만, 대부분의 그뢰브너 기저 계산은 ''K''가 유리수체이거나 소수 모듈로의 정수인 경우에 수행된다.의 0이 아닌 다항식은 일반적으로 의 합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는 ''K''의 0이 아닌 원소이며, 이를 ''계수''라고 부르고, 는 형태의 단항식 (Buchberger와 그의 추종자들에 의해 ''거듭제곱 곱''이라고 불림)이며, 여기서 는 음이 아닌 정수이다. 벡터 은 단항식의 ''지수 벡터''라고 불린다. 변수의 목록 가 고정되면 단항식 표기법은 종종 로 줄여서 사용한다.
단항식은 지수 벡터에 의해 고유하게 정의되며, 단항식 순서가 고정되면 다항식은 지수 벡터와 해당 계수로 구성된 정렬된 목록의 순서쌍에 의해 고유하게 표현된다.
만약 가 다항식 환 ''R''에 있는 다항식의 유한 집합이면, ''F''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은 ''R''의 계수를 가진 ''F''의 원소의 선형 결합의 집합이다. 즉, 로 쓸 수 있는 다항식의 집합이며, 여기서 이다.
''n'' 변수의 다항식 집합 {''f''1, ''f''2, ... , ''f''''r''}에서, 다항식 아이디얼 〈''F''〉 = 〈''f''1, ''f''2, ... , ''f''''r''〉는,
:
의 형태의 다항식 전체의 집합이다. 여기서 ''h''''i''는 임의의 다항식을 나타낸다. 이때 ''F''를 아이디얼 〈''F''〉의 생성계, 또는 기저라고 부른다. ''F''로부터 생성되는 아이디얼은 Ideal(''F'')로 표현한다.
:
의 해는 아이디얼의 요소 전체의 공통 영점과 일치하며, 아이디얼은 다변수 연립 대수 방정식을 일반화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립 방정식의 소거법은 주어진 방정식 ''F''의 아이디얼 ''I''로부터 변수의 개수가 적은 것을 골라내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2. 3. 그뢰브너 기저
체 에 대한 다항식환 에서, 개의 변수 에 대한 '''단항식'''(單項式, monomial영어)은:
과 같은 꼴의 다항식이다. 개 변수에 대한 '''단항식 순서'''(單項式順序, monomial order영어)는 다음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단항식 집합 위의 전순서 이다. 모든 단항식 에 대하여,
다항식 은 단항식의 합으로 분해할 수 있다. 단항식 순서 에 대한 다항식 의 '''최고차항'''(F/leading term}}) 은 를 구성하는 단항식들 가운데, 단항식 순서 에 대하여 가장 큰 단항식이다.
아이디얼 와 단항식 순서 가 주어졌을 때, 다항식 집합 의 최고차항들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가 의 최고차항으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와 일치한다면, 를 의 '''그뢰브너 기저'''라고 한다.
:
을 다항식환으로 하고, 여기서 {{mvar영어는 체일때, 허용 가능한 단항식 순서가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를 에 있는 유한한 다항식 집합으로, 이 집합이 생성하는 아이디얼을 라고 하자. 집합 는 (단항식 순서에 관하여) 그뢰브너 기저, 또는 더 정확하게는 의 그뢰브너 기저인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면 그렇다.
# 에 있는 다항식들의 선두 단항식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이 에 있는 다항식들의 선두 단항식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과 같다.
또는, 동치적으로,
# 에 있는 모든 다항식의 선두 단항식은 에 있는 어떤 다항식의 선두 단항식의 배수이다.
그뢰브너 기저의 동치 정의로 사용될 수 있는 많은 특성들이 있다. "하나의 단어/다른 단어" 표기는 그뢰브너 기저의 두 가지 다른 특성을 갖기 위해 "하나의 단어" 또는 "다른 단어"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은 그뢰브너 기저의 특성들이다.
# 다항식 가 에 속하는 것은 에 의한 의 완전 선도-축소/축소가 영 다항식을 생성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 의 원소들의 모든 -다항식 에 대해, 에 의한 의 완전 선도-축소/축소는 영을 생성한다.
# 의 원소에 대한 모든 완전 축소는 동일한 결과를 생성한다.
# 에 의해 기약 가능한 단항식들은 -벡터 공간 의 기저를 형성한다.
이러한 특성들은 그뢰브너 기저를 매우 유용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조건 3은 아이디얼 멤버십을 테스트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고, 조건 4는 다항식 집합이 그뢰브너 기저인지 테스트하는 알고리즘을 제공하며,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의 기반이 되어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한다. 조건 5와 6은 에서 모듈러 산술과 매우 유사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게 해준다.
모든 허용 가능한 단항식 순서와 유한 집합 의 다항식에 대해, 를 포함하고 동일한 아이디얼을 생성하는 그뢰브너 기저가 존재한다. 또한, 이러한 그뢰브너 기저는 부흐버거 알고리즘으로 계산할 수 있다.
이 알고리즘은 조건 4를 사용하며, 의 임의의 두 원소에 대해, 그들의 ''S''-다항식의 에 의한 완전 축소를 계산하고, 결과가 0이 아니면 결과를 에 추가한다. 이 연산을 의 새로운 원소를 포함하여 반복하며, 결국 모든 축소가 0을 생성할 때까지 반복한다.
이 알고리즘은 딕슨 보조정리 또는 다항식 환이 뇌터이기 때문에(힐베르트 기저 정리) 항상 종료된다. 조건 4는 결과가 그뢰브너 기저임을 보장하며, ''S''-다항식과 축소의 정의는 생성된 아이디얼이 변경되지 않도록 보장한다.
모든 단항 순서에 대해, 다항식의 공집합은 영 아이디얼의 유일한 그뢰브너 기저이다.
모든 단항 순서에 대해, 0이 아닌 상수를 포함하는 다항식 집합은 단위 아이디얼 (전체 다항식 링)의 그뢰브너 기저이다. 반대로, 단위 아이디얼의 모든 그뢰브너 기저는 0이 아닌 상수를 포함한다. 단위 아이디얼의 축소된 그뢰브너 기저는 단일 다항식 로 구성된다.
단일 변수의 다항식의 경우, 유일한 허용 가능한 단항 순서, 즉 차수에 의한 순서가 있다. 최소 그뢰브너 기저는 단일 다항식으로 구성된 싱글톤 (수학)이다. 축소된 그뢰브너 기저는 모닉 다항식이다.
유리수 계수를 갖는 이변수 다항식의 환을 라고 하고, 다항식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 를 고려하면,
:,
:.
로 를 축소하면 가 되도록 새로운 다항식 를 얻는다.
:
와 중 어느 것도 서로에 의해 축소될 수 없지만, 는 에 의해 축소될 수 있으며, 이는 에서 또 다른 다항식을 생성한다.
:
사전식 순서로 를 사용하면
:
:
:
와 가 에 속하고, 그 중 어느 것도 다른 것에 의해 축소될 수 없으므로, 및 중 어느 것도 의 그뢰브너 기저가 아니다.
반면에, }}는 그뢰브너 기저이다. 왜냐하면 S-다항식
:
이 와 에 의해 0으로 축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임의의 다항식 집합에 대해, 어떠한 단항식 순서를 선택하더라도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할 수 있다. 다만 단항식 순서에 따라 축약의 결과가 다르므로, 단항식 순서가 다른 경우의 그뢰브너 기저가 일치한다고는 할 수 없다.
그뢰브너 기저는 다음의 성질을 가진다.
- ''F''가 그뢰브너 기저라면
- ''F''를 ''n''-변수 다항식환 ''K''[''x''1, ..., ''x''''n'']의 부분집합, ''i'' ≤ ''n''이라고 할 때,
3. 역사
브루노 부흐베르거(Bruno Buchberger)가 1965년에 박사 학위 논문에서 그뢰브너 기저를 정의하고, 이를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발표하였다.[14][15] "그뢰브너 기저"라는 이름은 부흐베르거의 박사 과정 지도 교수 볼프강 그뢰브너(Wolfgang Gröbner)의 이름을 딴 것이다.
1964년에는 국소환에서의 유사한 이론이 히로나카 헤이스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표준 기저''' (''standard basis영어'' 또는 ''Hironaka's standard basis영어'')라고도 불린다. 자유 리 대수의 틀 내에서의 유사한 이론은 A. I. 시르쇼프에 의해 1962년에 발견되었지만, 소련 밖에서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다.
4. 성질
다음에서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 아래에 나오는 모든 결과는 임의의 단항 순서에 대해 유효하다.[3] 사전식 순서는 계산하기 가장 어려운 순서 중 하나이며, 가중 역 사전식 순서(grevlex)나 소거 순서(lexdeg)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는 주어진 아이디얼과 단항식 순서에 대해 ''유일''하다. 따라서 두 아이디얼이 동일할 필요충분조건은 두 아이디얼이 동일한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를 갖는 것이다.
다항식 환 ''R''에서의 아이디얼 ''I''의 '''차원'''은 환 ''R''/''I''의 크룰 차원이며, ''I''의 영점의 대수적 다양체의 차원과 같다. 이는 대수적 집합과 교차하기 위해 필요한 일반 위치에 있는 초평면의 수와 같으며, 유한 개의 점이다. 아이디얼과 관련 대수적 집합의 '''차수'''는 이 유한한 교점의 점의 개수이며, 중복도를 고려하여 계산된다. 특히 초곡면의 차수는 정의 다항식의 차수와 같다.
차수와 차원 모두 임의의 단항식 순서에 대한 아이디얼의 그뢰브너 기저의 선도 단항식 집합에만 의존한다. 차원은 선도 단항식이 ''S''의 변수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하는 변수 집합 ''S''의 최대 크기이다. 아이디얼의 차원이 0이면, 각 변수 ''x''에 대해 그뢰브너 기저에는 ''x''의 거듭제곱인 선도 단항식이 있다.
차원과 차수는 아이디얼의 힐베르트 급수에서 추론할 수 있는데, 이는 형태의 급수이며, 여기서 는 그뢰브너 기저의 선도 단항식의 배수가 아닌 차수 ''i''의 단항식의 개수이다. 힐베르트 급수는 다음과 같은 유리 분수로 합산될 수 있다.
:
여기서 ''d''는 아이디얼의 차원이고 는 이 아이디얼의 차수인 다항식이다.
차원과 차수는 단항식 순서의 선택에 의존하지 않지만, 단항식 순서를 변경하면 힐베르트 급수와 다항식 가 변경된다.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대부분의 컴퓨터 대수 시스템은 힐베르트 급수를 계산하는 기능, 그리고 차원과 차수를 계산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4. 1. 동치 조건
4. 2. 유일성
주어진 아이디얼과 단항식 순서에 대해 축약 그뢰브너 기저는 유일하게 존재한다. 그뢰브너 기저가 기저의 다른 요소에 의해 모든 다항식이 기약적이고 선두 계수가 1이면 축약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모든 축소 그뢰브너 기저는 최소이지만, 최소 그뢰브너 기저가 축소될 필요는 없다.아이디얼의 모든 축소 그뢰브너 기저(고정된 단항식 순서의 경우)는 동일하다. 두 아이디얼은 동일한 축소 그뢰브너 기저를 갖는 경우에만 동일하다.
유리수의 필드 에 대한 다항식으로 작업할 때 정수 계수를 가진 다항식으로만 작업하는 것이 유용하다. 이 경우, 축소 기저 정의의 선두 계수에 대한 조건은 기저의 모든 요소가 양의 선두 계수를 가진 정수 계수를 가진 원시 다항식이라는 조건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축소 기저의 유일성을 복원한다.
5. 기본 연산
5. 1. 선두 항, 계수, 단항식
단항식 순서가 고정되면 다항식의 항(단항식과 0이 아닌 계수의 곱)은 단항식의 감소 순으로 정렬된다. 이렇게 하면 다항식을 정렬된 계수-지수 벡터 쌍의 목록으로 나타내는 것은 다항식의 표준 표현이 된다.이 순서에 대해 다항식 ''p''의 첫 번째(가장 큰) 항과 해당 단항식 및 계수를 각각 '''선두 항''', '''선두 단항식''' 및 '''선두 계수'''라고 부르며, 이 문서에서는 lt(''p''), lm(''p'') 및 lc(''p'')로 표기한다.
그뢰브너 기저와 관련된 대부분의 다항식 연산은 선두 항과 관련이 있다.
5. 2. 다항식 연산
그뢰브너 기저 계산에 관련된 다항식 연산은 단항식 순서와 호환된다. 즉, 결과를 재정렬하지 않고도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두 다항식의 덧셈은 두 다항식의 해당 항 목록을 병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만약 동일한 단항식이 두 다항식에 모두 나타나는 경우에는 별도의 처리가 필요하다.
- 다항식에 스칼라를 곱하는 것은 각 항의 계수에 해당 스칼라를 곱하는 것으로, 표현에 다른 변경은 없다.
- 다항식에 단항식 ''m''을 곱하는 것은 다항식의 각 단항식에 ''m''을 곱하는 것이다. 이는 단항식 순서의 정의에 따라 항 순서를 변경하지 않는다.
5. 3. 단항식의 나누어떨어짐
두 단항식 과 의 지수 벡터는 각각 과 이다.이 을 ''나눈다'' 또는 이 의 ''배수''라는 것은 모든 에 대해 일 때를 의미한다. 즉, 가 요소별로 보다 크지 않을 때를 말한다. 이 경우, 몫 은 으로 정의된다. 즉, 의 지수 벡터는 과 의 지수 벡터를 요소별로 뺀 것이다.
과 의 ''최대 공약수'' 는 지수 벡터가 와 의 요소별 최소값인 단항식 이다. ''최소 공배수'' 는 대신 를 사용하여 유사하게 정의된다.
다음이 성립한다.
:
5. 4. 환원(Reduction)
단항식 순서에 따른 다항식의 ''환원(reduction)''은 그뢰브너 기저 이론의 핵심이며, 가우스 소거법에서의 행렬 축약과 일변수 다항식의 유클리드 나눗셈의 나눗셈 단계를 일반화한 것이다.[1] 가능한 최대한 완료되어 결과가 유일하게 정의되지 않더라도, '''다변수 나눗셈'''이라고도 불린다.''선두 환원(Lead-reduction)''은 계산이 더 쉬운 환원의 특수한 경우이다. 일반 환원은 그뢰브너 기저 계산의 마지막 단계에서 비환원 그뢰브너 기저로부터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를 얻기 위해서만 필요하므로, 선두 환원이 그뢰브너 기저 계산의 기본이 된다.
이 절에서 모든 단항식 비교는 고정된 허용 가능한 단항식 순서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다항식 f/f영어의 선두 단항식 lm(''f'')/lm(''f'')영어가 lm(''g'')/lm(''g'')영어의 배수이면, 다항식 f/f영어는 다른 다항식 g/g영어에 의해 ''선두 환원 가능(lead-reducible)''하다고 한다. 다항식 f/f영어의 어떤 단항식이 lm(''g'')/lm(''g'')영어의 배수이면, f/f영어는 g/g영어에 의해 ''환원 가능(reducible)''하다고 한다. (따라서 f/f영어가 g/g영어에 의해 선두 환원 가능하면, 또한 환원 가능하지만, f/f영어는 선두 환원 가능하지 않아도 환원 가능할 수 있다.)
f/f영어가 g/g영어에 의해 ''환원 가능''하고, 단항식 m/m영어이 lm(''g'')/lm(''g'')영어의 배수가 되도록 f/f영어의 항을 cm/cm영어이라고 할 때, g/g영어에 의한 f/f영어의 ''한 단계 환원(one-step reduction)''은 f/f영어를 다음으로 대체하는 것이다.
:
이 연산은 m/m영어보다 큰 단항식을 가진 항을 변경하지 않고, f/f영어에서 단항식 m/m영어을 제거한다(단항식 순서에 따라). 특히, f/f영어의 ''한 단계 선두 환원(one step lead-reduction)''은 모든 단항식이 lm(''f'')/lm(''f'')영어보다 작은 다항식을 생성한다.
다항식의 유한 집합 G/G영어가 주어지면, f/f영어가 G/G영어의 적어도 하나의 원소 g/g영어에 의해 환원 가능하거나 선두 환원 가능하면, 각각 G/G영어에 의해 ''환원 가능''하거나 ''선두 환원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 경우, G/G영어에 의한 f/f영어의 한 단계 환원(각각 한 단계 선두 환원)은 G/G영어의 원소에 의한 f/f영어의 한 단계 환원(각각 한 단계 선두 환원)이다.
G/G영어에 의한 f/f영어의 (완전) 환원(각각 선두 환원)은 G/G영어에 의해 환원 불가능(각각 선두 환원 불가능)한 다항식을 얻을 때까지 한 단계 환원(각각 한 단계 선두 환원)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는 때때로 G/G영어에 의한 f/f영어의 ''정규형(normal form)''이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이 형식은 유일하게 정의되지 않는데, 이는 f/f영어를 환원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G/G영어의 여러 원소가 일반적으로 있기 때문이다. 이 비고유성은 그뢰브너 기저 이론의 시작점이다.
환원의 정의는 h/h영어가 G/G영어에 의한 f/f영어의 정규형인 경우, 다음을 즉시 보여준다.
:
여기서 h/h영어는 G/G영어에 의해 환원 불가능하고, 는 인 다항식이다. 일변수 다항식의 경우, G/G영어가 단일 원소 g/g영어로 구성되면, h/h영어는 g/g영어에 의한 f/f영어의 유클리드 나눗셈의 나머지이고, ''q''''g''/''q''''g''영어는 몫이다. 또한, 나눗셈 알고리즘은 정확히 선두 환원의 과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저자는 환원 대신에 ''다변수 나눗셈''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간약화''란 직관적으로 다변수 다항식의 나눗셈을 통해 더 낮은 차수의 "나머지" 다항식을 구하는 것이다. 다항식 ''g''를 다항식 ''f''로 ''h''로 간약화한다는 것은, ''g'' 중의 단항식에서 ''f'' 중의 차수가 가장 높은 단항식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것을 제거하는 것으로,
: h}}
와 같이 표기한다. 1변수의 다항식이라면, ''x''5, ''x''4, ''x''3, ... 처럼 간약화에서의 차수의 순서는 쉽게 결정할 수 있지만, 다변수의 경우에는 단순하게 결정할 수 없다. 따라서 간약화의 경우에는 어떤 순서(항 순서)를 정할 필요가 있다. 그뢰브너 기저 이론에서는 임의의 순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다음의 것이 사용된다.
- 사전식 순서 (lex)
- 차수 사전식 순서 (grlex)
- 차수 역 사전식 순서 (grevlex)
이하에서는 간약화의 예를 든다. 예를 들어, ''g'' = ''x''2''y''3 + 3''xy''2 − 5''x'', ''f''1 = ''xy'' − 2''y'', ''f''2 = 2''y''2 − ''x''2 로 한다. ''x''2''y''3, 3''xy''2, 5''x'' 등이 단항식이다. ''g''를 ''F'' = {''f''1, ''f''2} 로 간약화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g''를 ''f''1으로 간약화한 h_1}}는,
:
이 된다. 또한, ''f''2로 간약화한 h_2}}는,
:
이 된다. 이처럼 간약화에는 복수의 방법이 있다. 간약화는 유한한 단계로 반드시 끝나지만, 일반적으로 결과는 유일하게 결정되지 않는다.
이하에, 간약화에 대한 몇 가지 표기 방법을 정리한다.
- ''g''가 ''F''의 어떤 요소 ''f''로 ''h''로 간약화되는 것을
: h}}
로 나타낸다.
- ''g''가 ''F''의 어떤 요소 ''f''에 의한 간약화의 유한한 단계에서 ''h''로 간약화되는 것을
:h}}
로 나타낸다. 또한 이렇게 해서 얻어지는 ''h''를
:
라고도 쓴다.
또한, ''g''가 ''F''의 어떤 요소로도 간약화할 수 없을 때, ''g''는 ''F''에 관한 '''정규형''' (normal form)이라고 하며, 간약화를 통해 정규형을 얻는 것을 정규화라고 한다.
5. 4. 1. 환원의 비유일성
다음 예에서, 서로 매우 다른 결과를 생성하는 정확히 두 개의 완전한 선도-환원이 있다. 결과가 기약적이라는 사실은 이 예에 특정한 것이지만, 이러한 작은 예에서는 다소 흔하다.두 변수 예에서, 사용되는 단항식 순서는 인 사전식 순서이며, 의 환원을 를 사용하여 고려한다.
:
:
첫 번째 환원 단계에서, ''f''의 첫 번째 항 또는 두 번째 항을 환원할 수 있다. 그러나, 항의 환원은 새로운 낮은 항을 추가하는 대가로 이 항을 제거하는 것과 같다; 만약 환원 가능한 첫 번째 항이 환원되지 않으면, 추가 환원이 유사한 항을 추가하여 다시 환원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항상 가장 큰 (단항식 순서에 따라) 환원 가능한 항을 먼저 환원하는 것이 좋다. 즉, 특히 선도-기약적인 다항식을 얻을 때까지 먼저 선도-환원하는 것이다.
''f''의 선도 항 은 에 의해 환원 가능하고 에 의해 환원 불가능하다. 따라서 첫 번째 환원 단계는 에 를 곱하고 그 결과를 ''f''에 더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
의 선도 항 는 과 모두의 선도 단항식의 배수이다. 따라서 두 번째 환원 단계에 대해 두 가지 선택이 있다. 만약 를 선택하면, 에 의해 다시 환원될 수 있는 다항식을 얻는다.
:
더 이상 환원은 불가능하므로, 는 ''f''의 완전한 환원이다.
두 번째 단계에 대한 다른 선택으로 다른 결과를 얻는다.
:
다시, 결과 는 기약적이지만, 선도 환원만 수행되었다.
요약하면, ''f''의 완전한 환원은 또는 가 될 수 있다.
이 비-유일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부흐베르거가 그뢰브너 기저와 ''S''-다항식을 도입했다. 직관적으로, 는 으로 환원될 수 있다. 이것은 가 ''G''에 의해 생성된 아이디얼에 속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아이디얼은 를 ''G''에 추가하여 변경되지 않으며, 이는 더 많은 환원을 허용한다. 특히, 는 에 의해 로 환원될 수 있으며, 이는 환원 형태의 유일성을 복원한다.
여기서 그뢰브너 기저에 대한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은 ''G''에 다항식을 추가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부흐베르거가 ''S''-다항식이라고 부르는 이 다항식은 과 의 선도 단항식의 최소 공배수 를 각각 와 로 한 단계 환원한 차이이다.
:.
이 예에서, 이다. ''xy''가 또는 에 의해 환원될 때 다른 결과를 제공하므로, 이것은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을 완료하지 않는다.
5. 5. S-다항식 (S-polynomial)
주어진 단항 순서에 대해, 두 다항식 f와 g의 S-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S(f,g) = red1(lcm, g) - red1(lcm, f)
여기서 lcm은 f와 g의 최고차 단항식의 최소공배수를 나타낸다. red1의 정의를 사용하면, S-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S(f,g) = (1/lc(f)) * (lcm/lm(f)) * f - (1/lc(g)) * (lcm/lm(g)) * g
lcm과 gcd를 연결하는 속성을 사용하여, S-다항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S(f,g) = (1/lc(f)) * (lm(g)/gcd) * f - (1/lc(g)) * (lm(f)/gcd) * g
여기서 gcd는 f와 g의 최고차 단항식의 최대공약수를 나타낸다. f와 g 모두에 의해 약분 가능한 단항식은 정확히 lcm의 배수이므로, S-다항식만 고려하여 약분의 비유일성의 모든 경우를 처리할 수 있다. 이는 그뢰브너 기저 이론과 그 계산을 위한 모든 알고리즘의 기본적인 사실이다.
정수 계수를 가진 다항식을 다룰 때 분수를 피하기 위해, S-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기도 한다.
:S(f,g) = lc(g) * (lm(g)/gcd) * f - lc(f) * (lm(f)/gcd) * g
두 다항식이 결합이므로 이는 이론에 아무런 변화를 주지 않는다.
6. 계산 알고리즘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은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가장 오래된 알고리즘이다. 이는 브루노 부흐베르거가 그뢰브너 기저 이론과 함께 고안했다. 구현하기는 간단하지만, 초기 구현은 사소한 문제만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 곧 드러났다. 주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결과적인 그뢰브너 기저가 작더라도 중간 다항식은 엄청나게 클 수 있다. 그 결과, 대부분의 계산 시간이 메모리 관리에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전문화된 메모리 관리 알고리즘이 효율적인 구현의 근본적인 부분이 될 수 있다.
# 계산 중에 발생하는 정수가 빠른 곱셈 알고리즘과 다중 모듈러 산술을 사용하기에 충분히 클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최적화된 구현은 GMPlibrary를 사용한다. 또한, 모듈러 산술,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헨젤 리프팅이 최적화된 구현에 사용된다.
# 줄여야 할 S-다항식과 이를 줄이는 데 사용되는 다항식의 선택은 휴리스틱에 달려 있다. 많은 계산 문제에서와 마찬가지로, 휴리스틱은 대부분의 숨겨진 단순화를 감지할 수 없으며, 휴리스틱 선택을 피하면 알고리즘 효율성이 극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 대부분의 경우 계산된 대부분의 S-다항식은 0으로 줄어든다. 즉, 대부분의 계산 시간이 0을 계산하는 데 소요된다.
# 응용 분야에 가장 자주 필요한 단항식 순서 (순수 사전식)는 일반적으로 가장 쉬운 계산으로 이어지는 순서가 아니며, 일반적으로 ''degrevlex'' 순서이다.
3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장-샤를 포제르가 F4 및 F5 알고리즘을 도입하기 전에 많은 개선 사항, 변형 및 휴리스틱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정수 계수 또는 소수 모듈로 정수의 계수를 위해 설계되었으므로,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은 더 일반적인 계수에 유용하게 남아 있다.
6. 1. 부흐베르거 알고리즘
'''부흐베르거 알고리즘'''(부흐베르거 알고리즘/Buchberger's algorithm영어)은 브루노 부흐베르거(Bruno Buchberger)가 발견한 알고리즘으로,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이는 유클리드 호제법을 다변수 다항식으로 일반화한 것과 유사하다.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의 기본 단계는 다음과 같다.
- G를 F로 초기화한다.
- G에 속하는 임의의 다항식 쌍 f1, f2에 대해, S-다항식을 G로 축약하여 h를 구한다.
- h ≠ 0 이면 G에 h를 추가하고 반복한다.
- h = 0 이면 다음 쌍을 처리한다.
이 연산은 유한 번에 종료되며, 결과로 얻어지는 G는 F와 동치인 그뢰브너 기저이다.
여기서 S-다항식은 f1과 f2의 선두항(항 순서가 가장 높은 항)을 상쇄시킨 식이다. 예를 들어, 차수별 역 사전식 순서에서 f1 = xy + 2y, f2 = 2y2 + x2인 경우, S-다항식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S-다항식(f1,f2) = yf1 - (1/2)xf2 = -(x3/2) + 2y2
이는 다항식의 선두항에 대해 최소공배수의 다항식을 구하여 그것들을 뺌으로써 상쇄하는 것이다. S-다항식에 의한 계산은 f1, f2 공통의 축약으로 볼 수 있으며, 크누스-벤딕스 완비화 알고리즘에서의 위험쌍(critical pair)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축약 순서에 관계없이 결과가 일치하는 합류성(confluence)을 보장한다.
하지만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으로 구한 그뢰브너 기저에는 중복된 요소가 포함될 수 있어 유일하지 않다. 중복된 요소를 제거하고 선두항의 계수를 1로 만든 기저를 '''축약 그뢰브너 기저'''(reduced Gröbner basis)라고 하며, 이는 항 순서가 정해지면 유일하게 결정된다.
6. 2. F4 및 F5 알고리즘
6. 3. 기저 변환 알고리즘
7. 응용
다음은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한[3], 아래에 나오는 모든 결과는 임의의 단항 순서에 대해 유효하다(아래 언급된 다양한 순서의 정의는 해당 문서를 참조).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는 주어진 아이디얼과 단항식 순서에 대해 ''유일''하다. 따라서 두 아이디얼이 동일할 필요충분조건은 두 아이디얼이 동일한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를 갖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뢰브너 기저 소프트웨어는 항상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를 생성한다).
== 아이디얼 멤버십 문제 ==
이상 ''I''의 환원에 의해 다항식 ''f''가 그뢰브너 기저 ''G''로 환원되면 ''f''가 ''I''에 포함될 때만 0이 된다. 이를 통해 이상 내의 원소의 소속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G''∪{''f''}의 그뢰브너 기저가 ''G''와 같은지 확인하는 것이다.
''f''1, ..., ''f''''k''에 의해 생성된 이상 ''I''가 이상 ''J''에 포함되는지 테스트하려면, 모든 f/f영어I/I영어가 ''J''에 속하는지 테스트하면 된다. 또한 ''J''와 J/J영어 ∪ {''f''1, ...,''f''''k''}의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의 동일성을 테스트할 수도 있다.
== 다항식 방정식계 풀이 ==
모든 다항식 집합은 다항식을 0으로 설정하여 다항식 방정식계로 볼 수 있다.[13] 이러한 시스템의 해 집합은 생성된 아이디얼에만 의존하며, 따라서 주어진 생성 집합이 생성된 아이디얼의 그뢰브너 기저(모든 순서)로 대체되어도 변경되지 않는다. 다항식의 계수를 포함하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좌표를 가진 이러한 해를 ''아이디얼의 영점''이라고 한다. 유리수 계수의 일반적인 경우, 이 대수적으로 닫힌 체는 복소수 체로 선택된다.[13]
1이 아이디얼에 속하는 경우(힐베르트 영점 정리) 또는 그뢰브너 기저(모든 단항식 순서에 대해)에 1이 포함된 경우, 또는 해당 축소된 그뢰브너 기저가 [1]인 경우에만 아이디얼은 영점을 갖지 않는다(방정식 시스템은 모순 방정식이다).[13]
아이디얼 ''I''의 그뢰브너 기저 ''G''가 주어지면, 각 변수 ''x''에 대해 ''G''가 선도 단항식이 ''x''의 거듭제곱인 다항식(선도 항에 다른 변수가 나타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유한 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중복도를 포함하여 계산된 영점의 수는 ''G''의 모든 선도 단항식의 배수가 아닌 단항식의 수와 같다. 이 수는 아이디얼의 ''차수''라고 한다.[13]
영점의 수가 유한할 때, 사전식 단항식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는 이론적으로 해를 제공한다. 해의 첫 번째 좌표는 첫 번째 변수에만 의존하는 기저의 다항식의 다항식 최대공약수의 근이다. 이 근을 기저에 대입한 후, 이 해의 두 번째 좌표는 두 번째 변수에만 의존하는 결과 다항식의 최대공약수의 근이 되는 식이다. 이러한 해결 과정은 GCD 계산과 근사 계수를 가진 다항식의 근 찾기를 포함하므로 수치적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으므로 이론적일 뿐이다.[13] 따라서 그뢰브너 기저를 통해 다항식 시스템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이 개발되었다.[13]
예를 들어 수식 처리 시스템(GAP)에서는 유리수체 위의 2변수 다항식환 '''Q'''[''x'', ''y'']에서의 아이디얼 〈''x''3 − 3''x''2 − ''y'' + 1, −''x''2 + ''y''2 − 1〉의 약 그뢰브너 기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3] 이 계산에 의해 해의 ''y'' 좌표 값은 ''x''에 의존하지 않는 대수 방정식 ''y''5 + ''y''4 − 11''y''3 − 17''y''2 + 9''y'' + 17 = 0의 근으로 계산할 수 있다. ''x'' 좌표 값은 나머지 방정식에 얻어진 ''y'' 좌표 값을 대입하면 얻을 수 있다.[13]
== 소거 이론 (Elimination Theory) ==
그뢰브너 기저를 "제거" 단항식 순서로 계산하면 계산적인 제거 이론이 가능하다. 이는 변수를 두 하위 집합 ''X''와 ''Y''로 나눈 다항식 환 을 고려하여, ''X''를 "제거"하는 제거 단항식 순서를 선택하는 것에 기반한다. 즉, 두 단항식을 먼저 ''X'' 부분을 비교하고 동일한 경우에만 ''Y'' 부분을 고려하여 비교하는 단항식 순서를 사용한다. 이는 ''X'' 변수를 포함하는 단항식이 ''X''에 독립적인 모든 단항식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만약 ''G''가 이 단항식 순서에 대한 아이디얼 ''I''의 그뢰브너 기저이면, 는 의 그뢰브너 기저이다 (이 아이디얼은 종종 "제거 아이디얼"이라고 불린다). 또한, 는 ''G''의 최고차 항이 ''K''[''Y'']에 속하는 다항식으로 정확히 구성된다.
이 "제거 속성"은 여러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대수 기하학에서 "제거"는 아핀 대수 집합을 주변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사영하는 기하학적 연산을 실현한다. 아이디얼 ''I''로 정의된 대수 집합의 ''Y''-부분 공간으로의 사영의 (자리스키 닫힘)은 아이디얼 에 의해 정의된다.
인 사전식 순서는 모든 분할 에 대한 제거 순서이다. 따라서 이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것이 사전식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가 일반적으로 계산하기 가장 어려운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아이디얼의 교집합 ==
그뢰브너 기저를 사용하여 두 아이디얼의 교집합을 계산할 수 있다. ''f''1, ..., ''f''''m''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I''와 ''g''1, ..., ''g''''k''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J''가 주어졌을 때, 교집합 ''I'' ∩ ''J''의 그뢰브너 기저를 얻을 수 있다. 새로운 변수 ''t''를 도입하고, 첫 번째 블록은 ''t''만을, 다른 블록은 나머지 변수들을 포함하는 소거 순서를 사용한다. 즉, ''t''를 포함하는 단항식이 ''t''를 포함하지 않는 모든 단항식보다 크도록 설정한다. 이 순서를 사용하여 아이디얼 의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한다. ''I'' ∩ ''J''의 그뢰브너 기저는 이 그뢰브너 기저에서 ''t''를 포함하지 않는 다항식들로 구성된다.
이는 아이디얼 ''K''가 형태의 다항식 (, )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이 다항식이 ''t''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여야 하고, 이는 를 의미한다.
== 유리 곡선의 음함수화 (Implicitization) ==
유리 곡선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매개변수 방정식을 갖는 대수 곡선이다.
:
여기서 와 는 1 ≤ ''i'' ≤ ''n''에 대해 일변수 다항식이다. 와 가 서로소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음함수화는 그러한 곡선의 음함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n'' = 2, 즉 평면 곡선의 경우, 이는 결합자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음함수는 다음과 같은 결합자이다.
:
그뢰브너 기저를 사용한 소거는 의 아이디얼에서 ''t''를 소거함으로써 모든 값의 ''n''에 대해 음함수화를 가능하게 한다. ''n'' = 2인 경우, 맵 가 거의 모든 ''t''에 대해 단사 함수이면 결과는 결합자와 동일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결합자는 소거 결과의 거듭제곱이다.
== 포화 (Saturation) ==
다항식 방정식으로 문제를 모델링할 때, 퇴화된 경우를 피하기 위해 일부 수량이 0이 아니라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삼각형이 선분으로 퇴화되는 경우, 즉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들의 길이의 합과 같아지는 경우 많은 속성이 거짓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퇴화된 해를 무시하지 않으면 다항식 시스템에서 관련 정보를 추론할 수 없다. 보다 정확하게는, 방정식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약 성분을 가질 수 있는 대수적 집합을 정의하며, 퇴화 조건이 모든 곳에서 0인 성분을 제거해야 한다.
이것은 퇴화 조건으로 방정식을 ''포화''시켜 수행하며, 이는 그뢰브너 기저의 소거 속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환의 국소화는 몇몇 원소들의 형식적 역원을 그것에 추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환 ''R''의 아이디얼 ''I''에 대한 ''f''에 대한 '''포화'''는 ''R''에서 로의 정규 사상 하에서 의 역상이다. 그것은 이며, ''f''의 거듭제곱과 곱한 것이 ''I''에 속하는 ''R''의 모든 원소로 구성된 아이디얼이다.
만약 ''J''가 ''I''와 1−''ft''에 의해 ''R''[''t'']에서 생성된 아이디얼이라면, 이다. 따라서, 만약 ''R''이 다항식 환이라면, ''t''를 제거하는 그뢰브너 기저 계산은 다항식에 의한 아이디얼의 포화의 그뢰브너 기저를 생성한다.
포화의 중요한 속성은, 그것이 아이디얼 ''I''에 의해 정의된 대수적 집합에서 다항식 ''f''가 0인 기약 성분을 제거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의 소수 분해는 I의 소수 분해의 구성 요소로, f의 어떤 거듭제곱도 포함하지 않는다.''
유한한 다항식 집합 ''F''에 의해 생성된 다항식 아이디얼의 ''f''에 대한 포화의 그뢰브너 기저는 에서 ''t''를 제거함으로써, 즉 제거 순서에 따라 의 그뢰브너 기저에서 ''t''에 의존하지 않는 다항식을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F''를 사용하는 대신, ''F''의 그뢰브너 기저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지는 문제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포화가 어떤 성분도 제거하지 않는다면, 즉 아이디얼이 포화된 아이디얼과 같다면, 먼저 ''F''의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것이 보통 더 빠르다. 반면에, 포화가 일부 성분을 제거한다면, 직접 계산이 극적으로 더 빠를 수 있다.
만약 여러 다항식 에 대해 포화를 수행하거나, 곱 인 단일 다항식에 대해 포화를 수행하려는 경우,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계산 시간이 매우 다를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어떤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지는 문제에 따라 다르다).
- 단일 그뢰브너 기저 계산에서 로 포화.
- 으로 포화한 다음, 그 결과를 로 포화하는 것을 반복.
- ''F'' 또는 그 그뢰브너 기저에 다항식 를 추가하고, 단일 그뢰브너 기저 계산에서 를 제거.
== 힐베르트 영점 정리 (Hilbert's Nullstellensatz) ==
힐베르트 영점 정리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 첫 번째 버전은 다항식 집합이 계수 필드의 대수적 폐포에서 공통된 영점을 갖지 않는 것은 1이 생성된 아이디얼에 속할 때와 필요충분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그뢰브너 기저 계산으로 쉽게 테스트할 수 있는데, 1은 모든 단항 순서에 대해 1이 아이디얼의 그뢰브너 기저에 속하는 경우에만 아이디얼에 속하기 때문이다.
두 번째 버전은 아이디얼의 공통 영점(계수 필드의 대수적 폐포 내) 집합이 다항식 ''f''의 영점의 초곡면에 포함되는 것은 ''f''의 거듭제곱이 아이디얼에 속할 때와 필요충분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아이디얼을 ''f''로 포화시켜 테스트할 수 있다. ''f''의 거듭제곱이 아이디얼에 속하는 것은 ''f''로의 포화가 1을 포함하는 그뢰브너 기저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이다.
== 고차원에서의 음함수화 ==
아핀 유리 다양체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
여기서 는 ''k''개의 변수(매개변수) 에 대한 ''n''+1개의 다항식이다. 따라서 매개변수 와 다양체의 점들의 좌표 는 다음 아이디얼의 영점이다.
:
매개변수를 소거하여 다양체의 음함수 방정식을 얻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만약 가 공통 영점("기저점")을 가진다면, 에 의해 정의된 비어있지 않은 대수적 집합의 모든 기약 성분은 ''I''에 의해 정의된 대수적 집합의 기약 성분이 된다. 이 경우, 를 직접 소거하면 비어있는 다항식 집합을 얻게 된다.
''k''>1인 경우, 음함수화를 위해 두 번의 그뢰브너 기저 계산이 필요하다. 먼저 으로 를 포화시켜 그뢰브너 기저 를 얻는다. 그 후 에서 를 소거하여 다양체의 아이디얼(음함수 방정식)의 그뢰브너 기저를 얻는다.
== 오류 정정 부호 (Error-Correcting Codes) ==
그뢰브너 기저는 대수적 복호를 위한 오류 정정 부호 이론에 적용되어 왔다.[10] 그뢰브너 기저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오류 정정 방정식을 계산함으로써 순환 부호, 아핀 다양체 부호, 대수 기하 부호 및 일반적인 선형 블록 부호의 오류를 정정하는 복호 방법이 개발되었다.[10] 그뢰브너 기저를 대수적 복호에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채널 부호 이론의 연구 분야이다.[10]
7. 1. 아이디얼 멤버십 문제
이상 ''I''의 환원에 의해 다항식 ''f''가 그뢰브너 기저 ''G''로 환원되면 ''f''가 ''I''에 포함될 때만 0이 된다. 이를 통해 이상 내의 원소의 소속 여부를 테스트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G''∪{''f''}의 그뢰브너 기저가 ''G''와 같은지 확인하는 것이다.''f''1, ..., ''f''''k''에 의해 생성된 이상 ''I''가 이상 ''J''에 포함되는지 테스트하려면, 모든 f/f영어I/I영어가 ''J''에 속하는지 테스트하면 된다. 또한 ''J''와 J/J영어 ∪ {''f''1, ...,''f''''k''}의 환원된 그뢰브너 기저의 동일성을 테스트할 수도 있다.
7. 2. 다항식 방정식계 풀이
모든 다항식 집합은 다항식을 0으로 설정하여 다항식 방정식계로 볼 수 있다.[13] 이러한 시스템의 해 집합은 생성된 아이디얼에만 의존하며, 따라서 주어진 생성 집합이 생성된 아이디얼의 그뢰브너 기저(모든 순서)로 대체되어도 변경되지 않는다. 다항식의 계수를 포함하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좌표를 가진 이러한 해를 ''아이디얼의 영점''이라고 한다. 유리수 계수의 일반적인 경우, 이 대수적으로 닫힌 체는 복소수 체로 선택된다.[13]1이 아이디얼에 속하는 경우(힐베르트 영점 정리) 또는 그뢰브너 기저(모든 단항식 순서에 대해)에 1이 포함된 경우, 또는 해당 축소된 그뢰브너 기저가 [1]인 경우에만 아이디얼은 영점을 갖지 않는다(방정식 시스템은 모순 방정식이다).[13]
아이디얼 ''I''의 그뢰브너 기저 ''G''가 주어지면, 각 변수 ''x''에 대해 ''G''가 선도 단항식이 ''x''의 거듭제곱인 다항식(선도 항에 다른 변수가 나타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경우에만 유한 개의 영점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 중복도를 포함하여 계산된 영점의 수는 ''G''의 모든 선도 단항식의 배수가 아닌 단항식의 수와 같다. 이 수는 아이디얼의 ''차수''라고 한다.[13]
영점의 수가 유한할 때, 사전식 단항식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는 이론적으로 해를 제공한다. 해의 첫 번째 좌표는 첫 번째 변수에만 의존하는 기저의 다항식의 다항식 최대공약수의 근이다. 이 근을 기저에 대입한 후, 이 해의 두 번째 좌표는 두 번째 변수에만 의존하는 결과 다항식의 최대공약수의 근이 되는 식이다. 이러한 해결 과정은 GCD 계산과 근사 계수를 가진 다항식의 근 찾기를 포함하므로 수치적 불안정성 때문에 실용적이지 않으므로 이론적일 뿐이다.[13] 따라서 그뢰브너 기저를 통해 다항식 시스템을 해결하기 위해 다른 방법이 개발되었다.[13]
예를 들어 수식 처리 시스템(GAP)에서는 유리수체 위의 2변수 다항식환 '''Q'''[''x'', ''y'']에서의 아이디얼 〈''x''3 − 3''x''2 − ''y'' + 1, −''x''2 + ''y''2 − 1〉의 약 그뢰브너 기저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13] 이 계산에 의해 해의 ''y'' 좌표 값은 ''x''에 의존하지 않는 대수 방정식 ''y''5 + ''y''4 − 11''y''3 − 17''y''2 + 9''y'' + 17 = 0의 근으로 계산할 수 있다. ''x'' 좌표 값은 나머지 방정식에 얻어진 ''y'' 좌표 값을 대입하면 얻을 수 있다.[13]
7. 3. 소거 이론 (Elimination Theory)
그뢰브너 기저를 "제거" 단항식 순서로 계산하면 계산적인 제거 이론이 가능하다. 이는 변수를 두 하위 집합 ''X''와 ''Y''로 나눈 다항식 환 을 고려하여, ''X''를 "제거"하는 제거 단항식 순서를 선택하는 것에 기반한다. 즉, 두 단항식을 먼저 ''X'' 부분을 비교하고 동일한 경우에만 ''Y'' 부분을 고려하여 비교하는 단항식 순서를 사용한다. 이는 ''X'' 변수를 포함하는 단항식이 ''X''에 독립적인 모든 단항식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만약 ''G''가 이 단항식 순서에 대한 아이디얼 ''I''의 그뢰브너 기저이면, 는 의 그뢰브너 기저이다 (이 아이디얼은 종종 "제거 아이디얼"이라고 불린다). 또한, 는 ''G''의 최고차 항이 ''K''[''Y'']에 속하는 다항식으로 정확히 구성된다.
이 "제거 속성"은 여러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대수 기하학에서 "제거"는 아핀 대수 집합을 주변 공간의 부분 공간으로 사영하는 기하학적 연산을 실현한다. 아이디얼 ''I''로 정의된 대수 집합의 ''Y''-부분 공간으로의 사영의 (자리스키 닫힘)은 아이디얼 에 의해 정의된다.
인 사전식 순서는 모든 분할 에 대한 제거 순서이다. 따라서 이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것이 사전식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가 일반적으로 계산하기 가장 어려운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7. 4. 아이디얼의 교집합
그뢰브너 기저를 사용하여 두 아이디얼의 교집합을 계산할 수 있다. ''f''1, ..., ''f''''m''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I''와 ''g''1, ..., ''g''''k''로 생성되는 아이디얼 ''J''가 주어졌을 때, 교집합 ''I'' ∩ ''J''의 그뢰브너 기저를 얻을 수 있다. 새로운 변수 ''t''를 도입하고, 첫 번째 블록은 ''t''만을, 다른 블록은 나머지 변수들을 포함하는 소거 순서를 사용한다. 즉, ''t''를 포함하는 단항식이 ''t''를 포함하지 않는 모든 단항식보다 크도록 설정한다. 이 순서를 사용하여 아이디얼 의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한다. ''I'' ∩ ''J''의 그뢰브너 기저는 이 그뢰브너 기저에서 ''t''를 포함하지 않는 다항식들로 구성된다.이는 아이디얼 ''K''가 형태의 다항식 (, )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통해 증명할 수 있다. 이 다항식이 ''t''에 의존하지 않으려면 여야 하고, 이는 를 의미한다.
7. 5. 유리 곡선의 음함수화 (Implicitization)
유리 곡선은 다음과 같은 형태의 매개변수 방정식을 갖는 대수 곡선이다.:
여기서 와 는 1 ≤ ''i'' ≤ ''n''에 대해 일변수 다항식이다. 와 가 서로소라고 가정할 수 있다.
음함수화는 그러한 곡선의 음함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n'' = 2, 즉 평면 곡선의 경우, 이는 결합자를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음함수는 다음과 같은 결합자이다.
:
그뢰브너 기저를 사용한 소거는 의 아이디얼에서 ''t''를 소거함으로써 모든 값의 ''n''에 대해 음함수화를 가능하게 한다. ''n'' = 2인 경우, 맵 가 거의 모든 ''t''에 대해 단사 함수이면 결과는 결합자와 동일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 결합자는 소거 결과의 거듭제곱이다.
7. 6. 포화 (Saturation)
다항식 방정식으로 문제를 모델링할 때, 퇴화된 경우를 피하기 위해 일부 수량이 0이 아니라고 가정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삼각형이 선분으로 퇴화되는 경우, 즉 한 변의 길이가 다른 변들의 길이의 합과 같아지는 경우 많은 속성이 거짓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퇴화된 해를 무시하지 않으면 다항식 시스템에서 관련 정보를 추론할 수 없다. 보다 정확하게는, 방정식 시스템은 여러 개의 기약 성분을 가질 수 있는 대수적 집합을 정의하며, 퇴화 조건이 모든 곳에서 0인 성분을 제거해야 한다.이것은 퇴화 조건으로 방정식을 ''포화''시켜 수행하며, 이는 그뢰브너 기저의 소거 속성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환의 국소화는 몇몇 원소들의 형식적 역원을 그것에 추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환 ''R''의 아이디얼 ''I''에 대한 ''f''에 대한 '''포화'''는 ''R''에서 로의 정규 사상 하에서 의 역상이다. 그것은 이며, ''f''의 거듭제곱과 곱한 것이 ''I''에 속하는 ''R''의 모든 원소로 구성된 아이디얼이다.
만약 ''J''가 ''I''와 1−''ft''에 의해 ''R''[''t'']에서 생성된 아이디얼이라면, 이다. 따라서, 만약 ''R''이 다항식 환이라면, ''t''를 제거하는 그뢰브너 기저 계산은 다항식에 의한 아이디얼의 포화의 그뢰브너 기저를 생성한다.
포화의 중요한 속성은, 그것이 아이디얼 ''I''에 의해 정의된 대수적 집합에서 다항식 ''f''가 0인 기약 성분을 제거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의 소수 분해는 I의 소수 분해의 구성 요소로, f의 어떤 거듭제곱도 포함하지 않는다.''
유한한 다항식 집합 ''F''에 의해 생성된 다항식 아이디얼의 ''f''에 대한 포화의 그뢰브너 기저는 에서 ''t''를 제거함으로써, 즉 제거 순서에 따라 의 그뢰브너 기저에서 ''t''에 의존하지 않는 다항식을 유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F''를 사용하는 대신, ''F''의 그뢰브너 기저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어떤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지는 문제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포화가 어떤 성분도 제거하지 않는다면, 즉 아이디얼이 포화된 아이디얼과 같다면, 먼저 ''F''의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것이 보통 더 빠르다. 반면에, 포화가 일부 성분을 제거한다면, 직접 계산이 극적으로 더 빠를 수 있다.
만약 여러 다항식 에 대해 포화를 수행하거나, 곱 인 단일 다항식에 대해 포화를 수행하려는 경우, 동일한 결과를 제공하지만 계산 시간이 매우 다를 수 있는 세 가지 방법이 있다(어떤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지는 문제에 따라 다르다).
- 단일 그뢰브너 기저 계산에서 로 포화.
- 으로 포화한 다음, 그 결과를 로 포화하는 것을 반복.
- ''F'' 또는 그 그뢰브너 기저에 다항식 를 추가하고, 단일 그뢰브너 기저 계산에서 를 제거.
7. 7. 힐베르트 영점 정리 (Hilbert's Nullstellensatz)
힐베르트 영점 정리는 두 가지 버전이 있다. 첫 번째 버전은 다항식 집합이 계수 필드의 대수적 폐포에서 공통된 영점을 갖지 않는 것은 1이 생성된 아이디얼에 속할 때와 필요충분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그뢰브너 기저 계산으로 쉽게 테스트할 수 있는데, 1은 모든 단항 순서에 대해 1이 아이디얼의 그뢰브너 기저에 속하는 경우에만 아이디얼에 속하기 때문이다.두 번째 버전은 아이디얼의 공통 영점(계수 필드의 대수적 폐포 내) 집합이 다항식 ''f''의 영점의 초곡면에 포함되는 것은 ''f''의 거듭제곱이 아이디얼에 속할 때와 필요충분 조건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아이디얼을 ''f''로 포화시켜 테스트할 수 있다. ''f''의 거듭제곱이 아이디얼에 속하는 것은 ''f''로의 포화가 1을 포함하는 그뢰브너 기저를 제공하는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이다.
7. 8. 고차원에서의 음함수화
아핀 유리 다양체는 다음과 같은 형태의 매개변수 방정식으로 설명될 수 있다.:
여기서 는 ''k''개의 변수(매개변수) 에 대한 ''n''+1개의 다항식이다. 따라서 매개변수 와 다양체의 점들의 좌표 는 다음 아이디얼의 영점이다.
:
매개변수를 소거하여 다양체의 음함수 방정식을 얻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만약 가 공통 영점("기저점")을 가진다면, 에 의해 정의된 비어있지 않은 대수적 집합의 모든 기약 성분은 ''I''에 의해 정의된 대수적 집합의 기약 성분이 된다. 이 경우, 를 직접 소거하면 비어있는 다항식 집합을 얻게 된다.
''k''>1인 경우, 음함수화를 위해 두 번의 그뢰브너 기저 계산이 필요하다. 먼저 으로 를 포화시켜 그뢰브너 기저 를 얻는다. 그 후 에서 를 소거하여 다양체의 아이디얼(음함수 방정식)의 그뢰브너 기저를 얻는다.
7. 9. 오류 정정 부호 (Error-Correcting Codes)
그뢰브너 기저는 대수적 복호를 위한 오류 정정 부호 이론에 적용되어 왔다.[10] 그뢰브너 기저를 사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오류 정정 방정식을 계산함으로써 순환 부호, 아핀 다양체 부호, 대수 기하 부호 및 일반적인 선형 블록 부호의 오류를 정정하는 복호 방법이 개발되었다.[10] 그뢰브너 기저를 대수적 복호에 적용하는 것은 여전히 채널 부호 이론의 연구 분야이다.[10]8. 구현 및 복잡도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은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가장 오래된 알고리즘으로, 브루노 부흐베르거가 개발했다.[4] 구현이 간단하지만 초기 구현은 사소한 문제만 해결할 수 있었다. 주요 문제는 중간 다항식 크기 증가, 정수 연산, S-다항식 선택, 그리고 대부분의 S-다항식이 0으로 줄어드는 비효율성 등이다.[4]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장-샤를 포제르는 F4 및 F5 알고리즘을 도입했다.[4] F4 알고리즘은 여러 S-다항식 감소를 선형대수의 행렬 축소로 대체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F5 알고리즘은 축소될 행렬 크기를 줄이는 기준을 도입하여 F4를 개선했다. 특히, F5는 모듈러 정수에서 여러 암호 도전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었다.[4]
FGLM 알고리즘은 다른 단항식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 계산을 위한 기저 변환 알고리즘이다. 0차원 경우에만 작동하며, 희소 행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후 ''희소 FGLM 알고리즘''이 도입되어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5]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CAS)에는 CoCoA, GAP, Macaulay 2, Magma, Maple, Mathematica, SINGULAR, SageMath, SymPy 등이 있으며, 이들은 그뢰브너 기저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있다. F4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부흐베르거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이다.[4]
F4 및 (희소) FGLM 알고리즘의 구현은 라이브러리 ''Msolve''에 포함되어 있다.[6] Msolve는 GitHub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Julia, Maple, SageMath와 인터페이스되어 해당 환경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6]
그뢰브너 기저 계산의 복잡도는 일반적으로 변수의 개수 ''n''와 입력 다항식의 최대 차수 ''d''의 관점에서 평가된다. 최악의 경우, 복잡도는 ''n''에 대해 이중 지수적으로 증가한다.[1]
보다 정확하게는, 복잡성은 의 다항식으로 상한이 정해진다. 작은 o 표기법을 사용하면, 이는 으로 제한된다. 반면에, 차수가 인 다항식을 포함하거나 개의 원소를 포함하는 기약 그뢰브너 기저의 예가 제시되었다.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모든 알고리즘은 결과를 기록해야 하므로, 이는 복잡성의 하한을 제공한다.
그뢰브너 기저는 EXPSPACE-완전이다.[7]
8. 1. 구현
부흐베르거 알고리즘은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가장 오래된 알고리즘으로, 브루노 부흐베르거가 개발했다.[4] 구현이 간단하지만 초기 구현은 사소한 문제만 해결할 수 있었다. 주요 문제는 중간 다항식 크기 증가, 정수 연산, S-다항식 선택, 그리고 대부분의 S-다항식이 0으로 줄어드는 비효율성 등이다.[4]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장-샤를 포제르는 F4 및 F5 알고리즘을 도입했다.[4] F4 알고리즘은 여러 S-다항식 감소를 선형대수의 행렬 축소로 대체하여 효율성을 높였다. F5 알고리즘은 축소될 행렬 크기를 줄이는 기준을 도입하여 F4를 개선했다. 특히, F5는 모듈러 정수에서 여러 암호 도전을 해결하는 데 사용되었다.[4]
FGLM 알고리즘은 다른 단항식 순서에 대한 그뢰브너 기저 계산을 위한 기저 변환 알고리즘이다. 0차원 경우에만 작동하며, 희소 행렬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후 ''희소 FGLM 알고리즘''이 도입되어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5]
널리 사용되는 컴퓨터 대수 시스템(CAS)에는 CoCoA, GAP, Macaulay 2, Magma, Maple, Mathematica, SINGULAR, SageMath, SymPy 등이 있으며, 이들은 그뢰브너 기저 계산을 위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있다. F4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부흐베르거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이다.[4]
F4 및 (희소) FGLM 알고리즘의 구현은 라이브러리 ''Msolve''에 포함되어 있다.[6] Msolve는 GitHub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Julia, Maple, SageMath와 인터페이스되어 해당 환경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다.[6]
8. 2. 복잡도
그뢰브너 기저 계산의 복잡도는 일반적으로 변수의 개수 ''n''와 입력 다항식의 최대 차수 ''d''의 관점에서 평가된다. 최악의 경우, 복잡도는 ''n''에 대해 이중 지수적으로 증가한다.[1]보다 정확하게는, 복잡성은 의 다항식으로 상한이 정해진다. 작은 o 표기법을 사용하면, 이는 으로 제한된다. 반면에, 차수가 인 다항식을 포함하거나 개의 원소를 포함하는 기약 그뢰브너 기저의 예가 제시되었다. 그뢰브너 기저를 계산하는 모든 알고리즘은 결과를 기록해야 하므로, 이는 복잡성의 하한을 제공한다.
그뢰브너 기저는 EXPSPACE-완전이다.[7]
9. 일반화
그뢰브너 기저의 개념과 알고리즘은 다항식 환 위의 자유 가군의 부분 가군으로 일반화되었다. 실제로, 만약 ''L''이 환 ''R'' 위의 자유 가군이라면, 두 원소의 곱을 0으로 정의함으로써 직합 을 환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환은 과 동일시될 수 있는데, 여기서 은 ''L''의 기저이다. 이를 통해 에 의해 생성된 ''L''의 부분 가군을 와 곱 , 에 의해 생성된 의 아이디얼과 동일시할 수 있다. 만약 ''R''이 다항식 환이라면, 이는 가군의 그뢰브너 기저의 이론과 알고리즘을 아이디얼의 그뢰브너 기저의 이론과 알고리즘으로 축소시킨다.
그뢰브너 기저의 개념과 알고리즘은 또한 주 아이디얼 환 또는 바일 대수와 같은, 가환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다양한 환 위의 아이디얼로 일반화되었다.
참조
[1]
학술대회
Computer Algebra
[2]
저널
Contributions to constructive polynomial ideal theory XXIII: forgotten works of Leningrad mathematician N. M. Gjunter on polynomial ideal theory
http://www.risc.jku.[...]
2003-06-01
[3]
서적
Ideals, Varieties, and Algorithms: An 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Algebraic Geometry and Commutative Algebra
Springer
[4]
저널
Converting bases with the Gröbner walk
Elsevier
[5]
저널
Sparse FGLM algorithms
Elsevier
[6]
학술대회
Msolve: a library for solving polynomial systems
https://hal.sorbonne[...]
[7]
저널
Some Complexity Results for Polynomial Ideals
1997-09-01
[8]
저널
Use of Gröbner bases to decode binary cyclic codes up to the true minimum distance
https://ieeexplore.i[...]
[9]
저널
Decoding affine variety codes using Gröbner bases
[10]
서적
Gröbner Bases, Coding, and Cryptography
Springer
[11]
웹사이트
Groebner Bases: A Short Introduction for Systems Theorists
http://www.risc.uni-[...]
Proceedings of EUROCAST 2001
[12]
웹사이트
Gröbner Basis Theory
http://www.cs.le.ac.[...]
Leicester University
2001-01-01
[13]
웹사이트
実際の計算
http://aleph.sagemat[...]
[14]
논문
Ein Algorithmus zum Auffinden der Basiselemente des Restklassenringes nach einem nulldimensionalen Polynomideal
http://www.risc.jku.[...]
인스브루크 대학교
1965-01-01
[15]
저널
Ein algorithmisches Kriterium für die Lösbarkeit eines algebraischen Gleichungssystems
1970-1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